top of page

게시판 게시물

LINE GRAPHIC
2025년 4월 30일
In 제작문의및 QnA
– 3D 영상과 아이소메트릭 시각이 만들어내는 전시 콘텐츠의 새로운 흐름 디지털 기술은 전시의 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 과거 전시는 물리적 공간 안에 실물을 배치해 관람객의 발걸음을 이끌었지만, 이제는 공간 자체가 영상 콘텐츠가 되고, 관람객은 실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에서도 깊은 몰입을 경험할 수 있다. 이 글은 전시 콘텐츠를 구성하는 최신 기술들 ― 특히 3D 영상, 아이소메트릭 시각화, 홍보영상 제작 기법 ―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외주 제작 생태계까지 아우르며, 전시 산업의 변화를 조망한다. 전시장: 메시지가 경험이 되는 공간 현대의 전시장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서, 브랜드나 예술가의 철학을 경험으로 전달하는 플랫폼이 되었다. 특히 박람회, 브랜드 쇼룸, 산업 전시회 등에서는 정보의 전달뿐 아니라 ‘기억에 남는 체험’이 중요해졌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영상과 상호작용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전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3D 영상이다. 제품 내부 구조를 3차원으로 보여주거나,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스케일과 각도로 전시물을 소개함으로써, 관람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더 나아가 홀로그램, 프로젝션 맵핑, 실감형 콘텐츠가 결합되면, 전시장 전체가 하나의 스토리텔링 공간으로 바뀐다. 3D 영상: 입체적 메시지 전달 3D 영상은 전시 콘텐츠 제작의 핵심 도구다. 단지 시각적 표현을 넘어, 메시지를 구조적으로 설계하고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산업 전시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일 때, 그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단면도로 보여주거나, 공정의 흐름을 시뮬레이션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시장 내 대형 LED 월이나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3D 애니메이션 기반 영상이 실시간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방식도 점점 늘고 있다. 이는 단지 시선을 끄는 것을 넘어서, 관람객의 참여와 이해를 동시에 유도한다. 아이소메트릭: 정보와 예술의 균형 이러한 3D 콘텐츠 안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아이소메트릭(Isometric) 시각 기법이다. 아이소메트릭은 원근이 배제된 입체 표현 방식으로, 복잡한 구조나 정보 흐름을 단순하고 아름답게 시각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술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스타일을 동시에 담을 수 있어, IT, 건축, 기계 등 산업 분야의 전시에 자주 사용된다. 전시장에서는 아이소메트릭 그래픽을 이용해 도시의 인프라를 묘사하거나, 제품의 생애주기를 시각화하는 콘텐츠를 만들기도 한다. 아이소메트릭은 설명과 디자인 사이의 경계를 부드럽게 연결하며, 정적인 인포그래픽을 애니메이션화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홍보영상 제작: 전시의 연장선 전시 콘텐츠는 행사장 안에서 끝나지 않는다. 브랜드와 제품을 기억하게 만들고, 이후에도 다양한 채널에서 확산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홍보영상이다. 많은 기업들은 전시를 준비하면서 동시에 그 내용을 영상으로 아카이브하거나, 사전·사후 홍보 목적으로 활용할 콘텐츠를 함께 기획한다. 전시 현장을 촬영한 영상에 3D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덧붙이거나, 아예 가상 전시장을 구현한 CG 영상으로 온라인 상에서 전시를 ‘재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디지털 전시 영상 콘텐츠의 수명과 가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외주: 창의적 협업의 생태계 이 모든 작업은 하나의 팀이 아닌,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기업의 경우 전시 콘텐츠 전반을 기획하는 에이전시가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외주 형태로 제작이 진행된다. 3D 모델러, 모션그래픽 디자이너, 영상 감독, 사운드 디자이너, UI 디자이너 등이 각각의 파트를 맡아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특히 최근에는 외주 제작 환경이 플랫폼화되면서, 프리랜서 디자이너들과의 협업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기술력 이상의 소통력과 기획 이해도다. 전시의 목적과 핵심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영상과 그래픽으로 풀어내는 능력이 외주 성공의 열쇠가 된다. 전시의 미래는, 영상 안에 있다 전시 공간은 더 이상 정적인 공간이 아니다. 3D 영상과 아이소메트릭 기법, 감각적인 홍보 영상, 전문가들의 외주 협업을 통해 전시는 관람객에게 정보를 넘어 브랜드의 철학과 미래를 체험하게 하는 장치로 진화하고 있다. 공간은 이야기로, 사물은 메시지로, 체험은 기억으로 전환된다. 앞으로의 전시 콘텐츠 제작은 기술만큼이나 기획과 창의성의 조화가 중요해질 것이다. 더 이상 "보여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전시의 영상은 "설득하고, 감동시키고, 기억에 남겨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3D 시각 기술과 콘텐츠 제작자들의 유기적인 협업, 즉 새로운 창작 생태계다.
디지털 공간의 미학, 전시를 설계하다 content media
1
0
3
LINE GRAPHIC
2025년 4월 29일
In 제작문의및 QnA
1. 건축설계에서 조감도와 투시도의 역할 건축설계 과정에서 조감도(鳥瞰圖, bird's-eye view)와 투시도(透視圖, perspective view)는 단순한 시각자료를 넘어, 설계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조감도는 일반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건축물 및 주변 환경을 내려다본 시점에서 그려진 이미지를 의미한다. 조감도는 건물의 전체적 형태, 배치, 조경, 주변 맥락과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나 복합용도시설(Mixed-use development)과 같은 경우, 개별 건물뿐만 아니라 단지 전체의 공간구성과 흐름을 설명하는 데 있어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조감도는 투자자, 관공서, 일반 대중에게 프로젝트의 비전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투시도는 인간의 눈높이 혹은 특정 지점에서 건축물을 바라본 시점을 시각화한 그림이다. 투시도는 공간의 깊이감, 재료의 질감, 빛과 그림자 등을 표현할 수 있어, 실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될 공간감을 보다 사실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건축 설계 초기단계에서는 투시도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 옵션을 비교하고, 최종 설계안에서는 마케팅 및 허가 용도로 활용된다. 조감도와 투시도는 단순히 '보여주기'를 넘어 설계 프로세스 자체에 깊이 관여한다. 디자이너는 시각화를 통해 공간 구성의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고, 설계 의도를 명확히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에서도 오해를 줄이고, 설계 의사결정 과정을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2. 건축 시각화와 VFX 기술과의 관계 최근 건축 분야에서는 단순한 2D 조감도나 투시도를 넘어, 더욱 몰입감 있는 시각화를 위해 VFX(Visual Effects)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영화 및 게임 산업에서 발전해온 VFX 기술은 이제 건축 시각화(Architectural Visualization, 일명 ArchViz) 영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첫째, 사실성(Photorealism)의 극대화. 현대의 VFX 기술은 건축물의 재료(Material), 빛(Lighting), 대기 환경(Atmosphere) 등을 매우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해준다.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기반 렌더링 기술이나, 실시간 렌더링을 지원하는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과 같은 툴은 설계안을 거의 실제 사진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생생하게 재현한다. 이를 통해 건축가는 설계 의도를 더 명확히 전달하고, 고객은 완공 후 모습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인터랙티브 콘텐츠로의 확장. 전통적 조감도와 투시도가 고정된 시점에서만 건축물을 보여줬다면, VFX 기반 기술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공간을 탐험할 수 있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실제 건물 안을 걷고 체험하는 듯한 몰입형 경험을 할 수 있다. 셋째, 환경 및 동적 요소 표현. VFX를 통해 건물 주변의 자연환경 변화(계절, 시간대, 날씨 등)나 인간 활동(보행자 흐름, 차량 통행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요소들은 건축 설계의 타당성 검토(예: 햇빛 차단 효과, 바람 흐름 분석 등)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의 설득력을 높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3. 건축설계 시각화와 VFX 통합의 의미 건축설계에서 조감도와 투시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설계 사고의 확장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VFX 기술이 결합되면서, 건축 설계자는 이제 '정적인 공간'이 아니라 '시간성과 동적 경험을 고려한 공간'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대형 복합개발, 도시개발 프로젝트에서는 단순히 건축물의 외형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그 공간을 어떻게 인지하고, 체험하고, 이용하는지까지 예측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있어, 조감도·투시도 제작에 VFX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나아가, VFX를 통한 실감형 건축 시각화는 설계 단계뿐 아니라, 마케팅, 판매, 운영 단계에서도 큰 가치를 창출한다. 예비 입주자나 투자자는 VR 쇼룸을 통해 아직 건설되지 않은 건물 안을 체험할 수 있고, 이는 구매 및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결론 건축설계에서 조감도와 투시도는 설계 의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핵심 도구이다. 이들은 설계자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이해관계자와의 효과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VFX 기술이 접목되면서 건축 시각화는 더욱 사실적이고, 몰입적이며, 동적인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보여주는 것'을 넘어,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건축 시각화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있다. 따라서 현대 건축설계 실무에서는 조감도와 투시도 제작에 있어 VFX 기술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점차 필수 역량이 되어가고 있다.
건축설계에서 조감도와 투시도의 역할과 VFX와의 관계 content media
1
0
4
LINE GRAPHIC
2025년 4월 25일
In 제작문의및 QnA
1. 3D 영상 제작 기술의 개요 3D 영상 제작은 평면적인 2D 이미지와 달리 깊이감과 공간감을 구현하여 현실감 높은 콘텐츠를 창출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건축 시각화, 영화·애니메이션 제작, 게임 산업,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최근에는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같은 차세대 플랫폼과 결합되며 그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3D 영상 제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모델링(Modeling): 물체나 공간을 3차원 구조로 설계 매핑(Texturing): 모델에 색상, 재질, 디테일을 입힘 리깅(Rigging) & 애니메이션(Animation): 움직임을 부여 렌더링(Rendering): 최종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출력 합성(Compositing): 실제 영상과 CG를 조합하거나 시각효과를 추가 이러한 과정은 각각 전문적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지원을 필요로 하며, 인공지능과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 중이다. 2. 현재 사용 중인 주요 3D 영상 제작 기술 2.1 실시간 렌더링 (Real-time Rendering) 게임 엔진(예: Unreal Engine, Unity)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3D 환경을 렌더링 건축 시각화 분야에서는 실시간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리젠테이션 영상 제작에 활용 영화 및 광고 분야에서도 프리비즈(Previsualization) 용도로 확산 중 2.2 모션 캡처(Motion Capture) 실제 인물의 움직임을 센서를 통해 캡처하여 3D 캐릭터에 적용 최근에는 AI 기반 모션 추정 기술로 스마트폰이나 웹캠만으로도 유사한 결과 도출 가능 2.3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 다각도에서 촬영된 사진을 이용해 정밀한 3D 모델을 생성 문화재 복원, 영화 세트 제작, 게임 환경 구축 등에 활용 2.4 Lidar 스캐닝 & 드론 기반 3D 맵핑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으로 공간을 입체적으로 기록 건축현장, 도시계획, 조경 설계에서 디지털 트윈 모델링과 연계해 활용 3. 미래 영상 산업에 도입될 신기술들 3.1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제작 시스템 텍스트 → 3D 모델 자동 생성 (예: OpenAI의 Point-E, Google의 DreamFusion) AI가 시나리오를 읽고 자동으로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생성 편집, 음성 더빙, 카메라 무빙 등 영상 제작의 모든 공정이 AI 중심으로 자동화될 가능성 3.2 디지털 휴먼 & 가상 아바타 3D 영상 속 인물은 실제 촬영이 아닌 딥러닝 기반의 디지털 휴먼으로 대체 가능 실시간 방송, 광고, 홍보 영상 등에서 실제 인물 없이 콘텐츠 제작 가능 고해상도 피부 텍스처, 자연스러운 표정/음성 동기화를 위한 기술 진화 중 3.3 홀로그램 & 라이트 필드 디스플레이 3D 영상을 실제 공간에서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회의, 전시, 교육, 원격 협업 등에서 몰입형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 가능 “스크린 없는 영상” 시대를 선도할 핵심 기술 3.4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 현실 세계의 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디지털 복제 공간 건축, 도시계획, 제조업 등의 시뮬레이션뿐 아니라, 영상 산업에서도 가상 세트 제작, 3D 광고 공간으로 활용 가능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는 3D 영상 콘텐츠가 ‘가상 자산’으로 거래되는 시장도 확대 중 3.5 뉴럴 렌더링 (Neural Rendering) 인공지능이 직접 3D 씬의 시각적 요소를 계산하여 고품질 영상을 생성 기존의 그래픽 처리 방식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며, 저사양에서도 고퀄리티 결과 가능 Meta, NVIDIA 등 주요 기업들이 연구를 주도 4. 산업별 적용 가능성과 전망 산업 분야 3D 영상 활용 예시 향후 전망 건축 및 부동산 분양 홍보영상, 가상투어, 시공 시뮬레이션 AR/VR 기반 실시간 건축 협업 시스템 확대 엔터테인먼트 영화 CG, 애니메이션, 가상 아이돌/아바타 디지털 배우/가상 콘서트 시장 급성장 교육 및 훈련 VR 안전교육, 시뮬레이션 기반 직무 훈련 몰입형 메타러닝 플랫폼과의 결합 확대 제조 및 산업 디지털 트윈, 설비 조작 시뮬레이션, 제품 소개영상 생산성 향상, 유지보수 효율화 5. 결론 3D 영상 제작 기술은 단순한 시각적 효과를 넘어,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실시간 렌더링, 디지털 휴먼, 홀로그램 등 미래지향적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영상 제작은 더욱 빠르고, 정교하며, 상호작용적인 형태로 변화할 것이다. 향후 영상 산업에서는 “영상 제작자”라는 직업도 AI와 협업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또는 디지털 건축가의 방향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높으며, 기술 이해와 창의적 상상력이 결합된 인재의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
0
4
LINE GRAPHIC
2023년 2월 23일
In 제작문의및 QnA
조감도는 다른 건축물을 표현하는 도면과 달리 그림 영역에 속하지만 건축물 자체의 전체적인 의미를 하나의 영상에 시각적으로 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효과를 가진다. 앞선 서술에서와 같이 목적물 의외의 주변 지역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이유 또한, 해당 건축물이 착공되기 전의 대상 지역 주변의 현황을 되도록 정확한 비례와 크기로 드러내고, 이 현황의 정보가 준수하다는 약속 아래에 올려진 건축물의 모습을 토대로 이 건축물이 주변 현황에 대해 어떠한 크기, 비례를 가지며 어떠한 모습을 가질 것인가를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건축설계의 단계에서도 조감도를 통한 프로젝트의 분석은 반드시 거쳐가게 되며, 결국은 화려한 렌더링과 여러 그래픽 처리 과정을 통해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조감도의그래픽이 완성 되는 것이다.
1
0
55
LINE GRAPHIC
2023년 2월 23일
In 제작문의및 QnA
영어로 birdeye view 라고 하며,새가 아래로 내려다본다는 모양이라서 조감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술용어로 부감법(俯瞰圖)이라는 회화방식이 있어, 위에서 내려다보는 각도로 그리는 형태의 그림을 통칭해 부감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감도의 뜻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건설 전에 나오는 그래픽 이미지를 죄다 조감도로 표현하기도 하지만, 조감도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형태의 그림만을 뜻하며 평지에서 보이는 대로 원근법을 살려 그린 그림은 투시도라고 따로 이름이 있다.
1
0
249
LINE GRAPHIC

LINE GRAPHIC

더보기
  • Instagram
  • YouTube

010-6269-6230

투시도 조감도 제작 3D영상 교회 사찰 병원 인테리어 건축사 골프연습장 헬스클럽 목구조 중목구조 내부목공사 지붕 보수공사 조경목공사 퍼걸러 산업디자인 공공디자인 교회인테리어 분양광고

​건축cg 3d영상제작 조감도제작 건축투시도제작 분양홍보영상 조감도 3d영상 라인그래픽

bottom of page